영적 순례의 길

대전교구 > 요골 공소 / 두세 신부에 의해 설정된 공소

Marine Kim 2017. 3. 31. 23:23

대전교구 > 요골 공소
[소개] [찾아가는길] [앨범사진] [자료실] [게시판]

간략설명 두세 신부에 의해 설정된 공소
지번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명곡리 195
도로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명곡요골길 15
전화번호 (041)841-7965
팩스번호 (041)841-9434
홈페이지 http://ch.catholic.or.kr/yogol
관련기관 유구 성당 (041)841-9431
관련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석남외마루길 18
요골 공소 마당의 성모상.이곳 요골 공소에 천주교가 전래 또는 시작된 것은 1884년 이전으로 생각된다. 충청도 지방 사목을 전담했던 두세 신부가 아산 공세리 성당에서 공주 공소(현 공주 중동 성당)로 가기 전 이곳에서 얼마간 머물렀다 한다. 그러므로 공주 중동 성당의 전신인 요골 공소에 첫 사제로 온 것이다.
이곳에 교우촌을 이룬 것은 이화진 베드로 회장으로,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그는 경기도 고양군 출신으로 군난을 피해 이곳저곳 교우촌으로 숨어 다니다가 이 지역에 정착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후 이화진 회장은 선교사들이 이 지역을 순방하게 되자 자신의 집을 공소로 삼아 선교사들을 맞이했고 인근에 흩어져 살고 있는 교우들을 찾아내어 요골에서 모여 살도록 하였다. 그때 이 회장은 전교회장이라는 직함을 가지고 열심히 활동하였다고 한다.
군란 당시 이곳에는 신자들이 숨어서 화전을 일구며 살았는데 그 사정이 어떠하였는지 알 수 없다. 처음의 공소는 배실 쪽 이 회장 댁이었다고 하며 그 후 1913년 김덕기 막시모 회장 때 요골로 공소를 옮겨왔다고 한다. 자신의 집 골방을 공소로 3년간 사용하다가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고 한다. 구자응 씨가 어렸을 때는 공소 판공미사를 3대에서 4대를 드릴 정도로 신자들이 많았고 모두 열심하였기에 성직자와 수도자 성소가 많이 나온 것 같다.
2003년 요골 공소 설립 120주년을 기념해 세운 표석.1883년 프랑스인 두세 신부에 의해 이곳이 공소로 설정된 이후 모든 성직자들이 이곳 신자들의 열심을 교구장에게 보고할 정도였다. 또 1884년에 42명이었던 신자수가 양촌(구합덕) 본당의 퀴틀리에 신부 때인 1890년에 이르러서는 100명이 넘어섰고, 공주 본당의 파스키에 신부 때인 1901년에는 145명, 1915년에는 158명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요골 공소에는 이씨, 김씨, 성씨, 복씨, 구씨 등이 살았고 이들이 차례로 회장을 맡아보면서 공소 신자들을 돌보았다. 그리고 이들 집안에서는 구전회 신부, 김윤상 신부, 김병상 신부, 구자오 신부, 구자윤 신부, 김영관 신부, 구본만 신부, 구본홍 신부, 구본국 신부가 나왔다. 그리고 이 외에도 여러 집안에서 수사, 수녀, 동정녀들이 나왔다.
이처럼 유서 깊던 이곳 공소도 이제 점차 신자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13세대 가량이 남게 되었다. 그러나 남아 있는 신자들은 매주 주일이면 함께 모여 공소예절을 행하고 있으며, 매월 넷째 주일이면 유구 본당 신부가 미사를 집전하러 왔었다. 그러나 지금은 교통의 발달로 주일이면 본당으로 미사참례를 가게 되어 공소에서 구역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출처 : 대전교구 홈페이지, 내용 일부 수정(최종수정 2015년 10월 28일)]

요골 공소와 성모상.요골 공소가 속한 유구 성당. 요골 공소는 현재 유구 성당의 한 구역으로 변경되었다.
두세(Doucet, Camille-Eugene) 신부(1853-1917년)
서울교구 부주교, 한국명 정가미(丁加彌). 1917년 4월 19일, 1876년부터 40여 년간, 갖은 박해를 헤치며 한국 교회를 끝까지 지킨 초기 한국 교회의 산 증인인 부주교 두세 신부를 잃음으로써 한국 교회는 큰 슬픔에 잠겼다. 그는 1853년 11월 16일 쉬브롱(Chevron)에서 태어나 1873년 9월 10일 파리 외방전교회에 들어가, 1876년 12월 23일 사제서품을 받고, 이듬해 1월 25일 한국으로 떠났다.
요골 공소 마당의 성모상과 종탑.이 때 한국에는 1866년 병인박해로 두 명의 주교를 포함한 9명의 성직자가 순교한 뒤에도 계속 박해가 끊이지 않아 들어갈 수가 없었다. 1877년 3월에 만주에 도착한 그는 9월 11일 리델(Ridel) 주교와 로베르(Robert) 신부와 함께 배를 타고 떠나 23일 저녁에 황해도 배천(白川) 맞은편 한강 입구에 닻을 내리고, 배천으로 들어가 1878년 1월말에는 구월산(九月山) 일대의 신자들에게 성사를 베풀 수 있게 되었다. 곧이어 서울에서 리델 주교가 체포되자 두세 신부와 로베르 신부를 만나 서로 무사함을 기뻐하였다.
이어 포졸들의 추적을 피해 이북 5도를 돌아다니면서도 전교활동을 멍추지 않았고, 12월에는 남부 지방으로 내려가 충청도를 거쳐 경상도로 가는 도중, 천연두에 걸린 어린이에게 성사를 베풀다가 자신도 감염되어 15일간 병석에서 신음하는 고통도 겪었다. 1881년 뮈텔(Mutel) 신부와 리우빌(Liouville) 신부가 조선 입국에 성공한 후, 두세 신부는 충청도 지방을 전담하여 근 10년간 이곳에서 복음 전파에 전력을 다하였다. 1890년에 서울에 올라온 그는 곧 약현(藥峴, 현 중림동) 성당의 건축을 담당했고, 성당이 준공되자 1892년 초대 약현본당 신부로 임명되어 사망하기까지 25년간 그 곳에서 일생을 바쳤다.
1896년 코스트(Coste) 신부가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부주교로 임명되어, 더욱 바쁜 봉사생활에 몰두하였으나 점차 몸이 노쇠해져 40년에 걸친 그의 헌신적 봉사에 종지부를 찍었다. [출처 : 한국가톨릭대사전]

모바일용 요약 설명
요골 공소는 1883년 충청도 지방 사목을 전담했던 두세 신부에 의해 공소로 설정되었고, 두세 신부가 아산 공세리 성당에서 공주 공소로 가기 전 이곳에서 얼마간 머물렀을 정도로 활발한 신앙공동체였습니다. 헌신적인 공소회장들과 많은 성직자와 수도자를 배출한 곳이었으나, 도시화의 영향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교통 등의 발달로 인해 현재는 유구 본당의 한 구역으로 명칭을 바꾸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