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need to know

매콤·쌉쌀한 한입, 조선시대 유명했던 밥도둑

Marine Kim 2016. 12. 7. 13:40

매콤·쌉쌀한 한입, 조선시대 유명했던 밥도둑

우리는 한식 또는 한식화된 음식에 녹아있는 유래와 역사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
이와 관련된 정보들을 하나씩 풀어보는 '한식의 탄생'. 한국인이 일상에서 접하고 있는 음식을 조금 더 깊숙히 들여다보자.

  • 취재=박정배 음식 칼럼니스트,'음식강산' 저자
  • 입력 : 2016.12.07 08:17 | 수정 : 2016.12.07 08:49

찬바람이 불어야 제맛이 나기 시작하는 굴. 서울 사람들은 매콤하고 짭짤하게 간한 어리굴젓으로 즐겨 먹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햅쌀밥을 한 수저 듬뿍 떠서 미각을 자극하는 싱싱하고 빨간 어리굴젓을 얹어'(1973년 09월 30일자 조선일보) 먹는 밥 반찬이자 '저육(돼지고기)이나 업진(양지)편육을 찍어 먹는'(1931년 11월 5일자 동아일보) 소스이기도 했다.

/유창우 기자

음식에 관한 글을 많이 남긴 조선 후기 문신 심노숭(沈魯崇·1762~1837)은 남천일록(南遷日錄)에서 '지금쯤 서울 시장에서 파는 어리굴젓(淡酸石花醯)은 내가 즐기는 것으로 늘 생각이 간절하다'고 적을 정도로 어리굴젓은 조선시대에도 유명했다.

서울 사람들은 서산 간월도 것을 최고로 쳤다. 홍선표(洪善杓)는 조선요리학(朝鮮料理學·1940년)에서 간월도 어리굴젓을 최고로 꼽으면서 '특히 유명한 것이 한해(韓�)이다. 한씨 가문에서 수백년 동안 전해 내려왔는데 독특한 비법이 있어 누구도 흉내 내지 못했다고 한다'고 적었다.

어리굴젓이란 말은 맵다는 의미의 '어리하다'와 나이가 적다는 의미의 '어리다'에서 나온 이름으로 짐작된다. 간월도 굴은 다른 지역의 굴보다 크기가 작다. 그럼에도 간월도 어리굴젓이 유명한 건 작은 대신에 맛이 좋기 때문이다. 간월도 굴은 3년이 지나도 2~3㎝밖에 자라지 않는다. 하지만 굴 몸통에 달린 물날개가 다른 지역의 굴보다 많아 양념이 고루 밴다는 특징이 있다.

1980년대 초반 간월도 일대가 간척지가 되면서 간월도 어리굴젓은 사라졌다가 1980년대 후반 지역 주민들이 방조제 바깥쪽에 굴을 양식하면서 굴이 다시 나고, 어리굴젓을 살려야 한다는 주민들의 염원이 합쳐지며 부활한다. 하지만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혓바닥에 짝 들러붙어 군침을 삼키게 한'(1957년 12월 10일자 경향신문) 서울 사람들의 겨울철 어리굴젓 앓이도 사라졌다.

어리굴젓누룽지김밥토란국굴비와 물만밥굴비와 물만밥민어함흥냉면화채화채보리밥오이소박이조깃국파전시래기된장헛제삿밥수정과김치찌개북엇국비지찌개김장잡채막걸리갈비찜젓갈육회냉국육개장미숫가루상추쌈장아찌미나리두부청포묵막국수도다리쑥국청국장떡국,만둣국빈대떡참기름과메기명태설렁탕게장삼겹살떡볶이송편조선요리옥전기구이통닭아이스케키삼계탕
▶박정배는
남해 섬에서 남해 출신의 아버지와 삼천포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남해 죽방렴의 멸치와 삼천포의 쥐치 같은 비린내 나는 날것들을 먹으며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서울에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다니며 돼지고기, 쇠고기 등 기름진 음식을 접했고, 음식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대학 시절 처음으로 평양냉면을 비롯한 북한 음식을 맛보며 우리 음식의 다양성에 눈을 떴고, 대학생 시절 폐선 되기 직전의 수인선 여행의 낭만이 몸속 구석구석 남아 있다가 일본 기차여행을 하면서 되살아났습니다. 방송 프로듀서, 출판사 대표, 애니메이션 제작사 대표 등 다양한 문화계 일을 해왔습니다. 일본을 70여 회 먹고 마시면서 돌아다녔고, 현재 음식평론가와 여행 작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음식강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