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적 순례의 길

광주대교구 > 산정동 성당

Marine Kim 2016. 9. 8. 22:09

산정동 성당
 

 
간략설명 광주대교구의 첫 본당이자 한국 레지오 마리애의 발상지
지번주소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동 74-78
도로주소 전라남도 목포시 노송길 32-6
전화번호 (061)274-1004
팩스번호 (061)276-4482
홈페이지
전자메일 jhjanna1004@hanmail.net
성당 입구. 오른쪽 성당 맞은편에는 1998년 축성식을 가진 한국 레지오 마리애 기념관이 서 있다.광주대교구 최초의 본당. 전남 목포시 산정2동 74 소재. 1897년 5월 8일 수류(水流) 본당으로부터 분리 · 설립되었으며, 전남 순창군 쌍치면 아천리(阿川里, 현 五龍村)에서 이듬해 7월 2일 목포로 이전하였다. 주보는 대천사 성 미카엘.
복음의 전파와 본당 설립
전라남도 지역에 복음이 널리 전파되기 시작한 것은 1866년의 병인박해를 피해 온 다른 지역의 교우들이 노령산맥 줄기를 따라 새로운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면서부터였다. 그 후 이들은 1872년의 ‘나주 무학당(武學堂) 사건’으로 새로운 순교자를 탄생시키면서도 꾸준히 복음 전파에 노력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새로 이주해 오는 신자들로 인해 전라남도 지역의 교우촌이 점차 증가하게 되었다. 그 결과 1882년 이후에는 리우빌(Liouville, 柳達榮) 신부에 의해 장성 · 순창 · 담양의 20여 개 교우촌이 공소로 설정되었다.
성당 마당의 예수성심상.1896년까지도 전라도 지역은 전주 본당 · 되재[升峙] 본당 · 수류 본당 등 북부 지역에만 본당 소재지가 있었으며, 남부 지역의 공소들은 라크루(Lacrouts, 具馬瑟) 신부가 사목하는 수류 본당에 속해 있었다. 그러다가 바로 그 해 11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제8대 조선교구장 뮈텔(Mutel, 閔德孝) 주교가 전라도 지역을 순방하면서 나바위[羅岩] 본당과 목포 본당의 신설을 결정하였다. 목포 본당 설립을 결정하게 된 이유는 남부 지역의 공소들이 수류 본당과 너무 멀어 사목에 어려움이 있었던데다가 1898년에 개항 예정인 목포 지역의 발전이 예상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결정에 따라 1897년 5월 8일 데예(Deshayes, 曹有道) 신부가 목포 본당 초대 주임으로, 베르모렐(Vermorel, 張若瑟) 신부는 나바위 본당 초대 주임으로 각각 임명되었다.
당시 목포 지역에는 100호도 안되는 마을이 있었을 뿐 신자는 한 명도 없었으므로 데예 신부는 우선 아천리 공소에 임시로 거처하면서 목포 지역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기로 하고, 라크루 신부로부터 순창 · 정읍 · 장성 지역의 공소들을 인수받아 공소 순방을 시작하였다. 이듬해 봄 판공을 끝낼 때까지 데예 신부가 순방한 공소는 순창 · 정읍 · 장성 · 담양 · 함평 · 태인 · 무안 등지의 26개소였다. 한편 1897년 9월부터 아천리 신자들을 목포로 보내 쌍교(雙橋, 현 남교동과 북교동 사이)의 토지와 가옥을 매입하기 시작한 데예 신부는, 이듬해 목포항에서 무안으로 가는 길목(현 목포 산정동)에 있는 산을 매입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런 다음 그 안에 있는 가옥을 수리하여 1898년 7월 2일 목포로 거처를 옮겼다.
초기 현황과 성당 건립
1966년 완공된 현 성당 내부.목포로 진출한 데예 신부는 즉시 제물포(현 답동) 성당을 모방하여 성당을 설계했는데, 이를 전후하여 제물포나 경상도 등지에서 목포로 이주해 오는 교우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곧 이어 같은 해 8월부터 비로소 현재의 산정동 성당 부지 위에서 성당 건축을 시작한 그는, 비록 처음의 설계대로는 아니었을지라도 1899년 초에는 아담한 연와제 성당을 완공할 수 있었다. 당시 목포 신자수는 22개 공소에 1,238명이었다.
이 무렵 뮈텔 주교는 1897년 12월에 서품되었으나 병으로 서울에 머물고 있던 이내수(李迺秀, 아우구스티노) 신부를 요양차 데예 신부의 보좌로 임명하였다. 이에 따라 그는 1898년 8월에 목포로 와서 데예 신부와 함께 거처하다가 이듬해 7월에는 무안 우적동(현 몽탄면 사천리 牛跡洞)에 새 거처를 마련한 뒤 그곳을 중심으로 사목 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1900년에 다시 병이 악화되어 목포로 돌아가야만 하였으며, 데예 신부의 간호를 받다가 12월 20일에 사망하고 말았다. 이후 우적동 본당은 김승연(金承淵, 아우구스티노) 신부, 드뇌(Deneux, 全學俊) 신부에 이어 1904년부터 투르뇌(Tourneux, 呂東宣) 신부가 부임하여 활동하다가, 1907-1908년에 투르뇌 신부가 본당을 나주군의 남산(南山, 노안면 용산리)과 계량(桂良, 현 노안 본당)으로 이전하면서 목포 본당 관할 공소로 격하됨으로써 ‘계량 본당’은 목포의 첫 번째 자 본당이 되었다.
성당 제대.데예 신부는 1898년부터 이미 본당 신자들로 매괴회 · 성의회 · 성모회 · 성모 통고회 · 예수 성심회 등을 조직하여 신심 함양과 봉사 활동에 노력하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성당을 건립한 이듬해부터는 도서 지방 전교를 시작하여 지도군(智島郡) 지역의 안창도 · 도초도 · 비금도 · 자은도 · 압해도 등지에 공소를 설립하였다. 그리고 1901년 이후에는 육지 공소의 순방을 우적동 본당 신부에게 맡기고 자신은 주로 도서 지방을 순방하였는데, 이 와중에 그는 1901년에 일어난 ‘지도교안’과 이후의 잦은 교·민(敎民) 사이의 충돌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이처럼 목포 본당의 정착을 위해 노력하던 데예 신부가 1909년 5월 1일 뮈텔 주교를 돕기 위해 서울 주교관으로 전임되면서 나주 계량 본당에 재임하던 투르뇌 신부가 목포 본당 2대 주임으로 임명되었고, 계량 본당 주임으로는 카다스(Cadars, 姜達淳) 신부가 임명되었다. 당시 전라남도 지역 중에서 목포 인근과 도서 지역은 목포 본당(18개 공소, 916명), 장성과 나주 일대는 계량 본당(9개 공소, 291명), 그리고 장성과 순창 일부 지역은 정읍의 신성리(新城里) 본당과 수류 본당에 속해 있었다.
본당 설립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건립된 한국 레지오 마리애 기념관.1911년에 대구교구가 조선교구에서 분리 · 설정되면서 초대 교구장으로 임명된 드망즈(Demange, 安世華) 주교는 이듬해 5월 인사 이동을 단행하여 목포 본당의 투르뇌 신부를 경북 칠곡의 가실 본당으로 전임시키는 대신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로 내정되어 있던 샤르즈뵈프(Chargeboeuf, 宋德望) 신부를 임시로 목포 본당에 임명하였다. 당시 샤르즈뵈프 신부는 신학교 교사가 완공되자마자 교수로 부임할 예정이었으나 건축이 늦어지면서 3대 주임으로 눌러앉게 되었다. 그러자 데예 신부가 매입해 두었던 산정동 97번지(현 성 골롬반 병원 구역)에 새 성당을 건축할 계획을 세웠으며, 1913년 8월 4일에는 드망즈 주교의 집전으로 정초식을 갖는 동시에 언덕 위에 세운 높이 5.5m의 대형 십자가와 성 파트리치오를 주보로 한 종의 축성식도 거행하였다. 이후 성당은 그 해 말에 완공되어 12월 25일 ‘성가 광영’(성 십자가 현양)을 주보로 봉헌식을 가졌는데, 이렇게 주보를 정한 이유는 그 해가 ‘밀라노 관용령’ 반포 1,600주년이 되는 해였기 때문이다.
시련과 변모
목포 선교 100주년, 한국 레지오 마리애 기념관 정면.1914년 5월 3일 샤르즈뵈프 신부가 예정대로 성 유스티노 신학교 교장으로 전임되면서 마산포에 있던 카넬(Canelle, 間弘模) 신부가 4대 본당 주임으로 부임하였으나, 그는 그 해 10월에 제1차 세계대전으로 동원되어 귀국하였다. 이후 본당은 제주 한논 본당(서귀포 본당의 전신)에 재임하던 타케(Taquet, 嚴宅基) 신부가 겸하여 사목하다가 1915년 6월 7일자로 그가 5대 주임으로 부임하게 되었는데, 이 무렵 신자수는 250여 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 후 타케 신부의 전교 노력에 힘입어 1920년대 초에는 약 400명으로 증가하게 되었으며, 1916년 이래로 타케 신부는 제주의 홍로 본당 주임을 겸하였다.
타케 신부의 뒤를 이어 1922년 9월 24일에는 주재용(朱在用, 바오로) 신부가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제주 본당 주임을 겸하여 부임하였다. 그는 1926년 5월부터 산정동 본당만을 맡았는데, 이해에 85평 규모의 교실 2개를 신축하여 성심 소학교(聖心小學校)를 설립하였고, 초대 교장으로 새 보좌인 이성만(李性萬, 이냐시오) 신부를 임명하였다. 이 학교는 그 후 1944년 5월에 신사 참배를 거부하고 스파이를 양성했다는 죄목으로 폐교되었고, 8·15 광복 후에는 공민학교로 존속하다가 6·25 한국 전쟁으로 완전히 폐교되었다. 주재용 신부는 1931년까지 본당에 재임하면서 교리 교사회와 복사회 등 평신도 단체를 활성화하고 전교에 노력하여 1926년경에는 신자수가 700여명에 이르렀다.
한국 레지오 마리애 도입 기념비. 한국의 레지오 마리애는 1953년 산정동 본당에서 처음 시작되었다.1931년 5월 10일에 드망즈 주교는 전라도 지역을 ‘감목 대리구’(초대 감목 대리 : 김양홍 신부)로 설정하였고, 1933년 7월 6일에는 교황청 포교성성에서 전라남북도 감목 대리구 분리를 승인하면서 전라남도와 제주 지역의 사목을 골롬반 외방선교회에 위임하였다. 이때 초대 전라남도 감목 대리로는 맥폴린(Owen McPolin, 林) 신부가 임명되었으며, 1937년 4월 13일 광주 지목구가 설정되면서 초대 지목으로 임명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1931년 5월 10일 본당에 부임하여 사목하던 7대 주임 송남호(宋南浩, 요셉) 신부는 대구 주교관으로 전임되었다가 1935년 2월에 서울 소신학교로 전임되었으며, 1934년 3월 8일자로 모나간(Monaghan, 牟) 신부가 8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는데, 이 무렵 본당 신자수는 921명이었다.
모나간 신부는 1941년 12월 8일 태평양 전쟁 발발과 동시에 총독부에 의해 체포 · 감금되기까지 7년여 동안 재임하면서 무엇보다도 전교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신자수는 1,800여 명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성체회 · 청년회 · 학생회 등의 활동도 활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1935년에는 산정동 97번지에 400평의 강당 겸 교리실을 신축하였고 가톨릭 문고도 설치하였다. 모나간 신부가 체포된 후 김재석(金在石, 요셉) 신부, 박문규(朴文奎, 미카엘) 신부, 최덕홍(崔德弘, 요한) 신부 등이 차례로 본당 주임으로 부임하였는데, 1945년 5월 28일에는 성당이 일본군 사령부로 징발되면서 남교동에 있는 건물을 임시로 빌려 미사를 봉헌해야만 하였다. 광복이 되면서 총독부에 징발당했던 성당을 되찾고 이듬해 8월 24일에는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의 수녀들이 처음으로 본당에 파견되었으나 이후 6·25 한국 전쟁으로 인해 본당은 다시 시련을 겪지 않으면 안 되었다. 성당은 인민군 막사로 징발되었고, 본당 주임 쿠삭(Cusak, 高) 신부와 보좌 오브라이언(J. O'Brien, 吳) 신부는 인민군에게 체포되어 그해 8월경 대전에서 피살되고 말았다.

성당 축성 기념비. 1966년 5월 29일 성령강림 대축일에 현 대주교가 축성하였다.본당의 성장과 분할
목포 수복 후 14대 주임으로 부임한 모란(Moran, 安) 신부는 1951년 4월 9일 ‘경동(京洞) 본당’을 분할함과 동시에 목포 남쪽 지역 및 자은도 공소와 하의도 공소를 이관하고, 목포시로부터 577평을 새 본당 부지로 매입하였다. 이로써 목포 본당은 비로소 2개로 분리되었는데, 경동 본당 초대 주임으로는 김성환(金成煥, 빅토리오) 신부가 임명되었다. 또 모란 신부는 1952년 12월 15일에 ‘성심유치원’을 개원하였으며, 이듬해 3월 31일에는 한국 최초로 레지오 마리애를 도입하여 ‘치명자의 모후’ 쁘레시디움과 ‘평화의 모후’ 쁘레시디움을 설립하였다.
경동 본당을 분할하기 이전의 본당 신자수는 4,262명이었지만 본당 분할 이후에도 꾸준히 증가하여 1958년 초에는 6,264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17대 주임 둔(Dunne, 도) 신부는 또다시 본당 분할을 계획하여 북교동에 부지를 매입하고 그 해 5월 성당을 완공한 뒤 9월 3일자로 ‘북교동(北橋洞) 본당’을 두 번째 자 본당으로 분할하였다. 한편 1957년에는 흑산도 진리에 새 부지를 매입하여 사제관을 건립하였고, 다음해에는 그 이웃에 100평 규모의 성당을 완공하고 11월 11일 봉헌식을 갖는 동시에 세 번째 자 본당으로 ‘흑산동 본당’을 분할하였다. 이로써 산정동 본당의 신자수는 1959년 7월 5일에는 본당 이웃에 ‘성 골롬반 병원’을 개원하였으며, 1957년 1월 21일에는 광주 지목구가 대목구(초대 교구장 : 헨리 주교)로 승격되었다.
그 후 신안군 도서 지역에는 여러 공소들이 설립되었는데, 18대 주임 휴그(Hughes, 유) 신부 때에는 신안군 안좌읍 공소, 19대 주임 모리시(Morrissey, 牟) 신부 때에는 안좌 대리 공소, 20대 주임 브라질(Brazil, 진) 신부 때에는 도초면 도락 공소가 각각 설립되었다. 흑산도 본당 재임 시절에 이미 도초 외남 공소를 설립하기도 한 브라질 신부는, 산정동 본당에 부임한 뒤에도 신축 성당 건립을 추진하여 1966년 5월 29일에 현재의 성당(166평)과 사제관(45평)을 완공하고, ‘대천사 성 미카엘’을 주보로 하여 헨리 주교 집전으로 봉헌식을 거행하였다.
6.25전쟁 때 순교한 교구장 브레난 신부와 본당 주임 쿠삭과 보좌 오브라이언 신부를 기념해 세운 비.이때 본당 신자수는 다시 5,000명을 넘어서고 있었으므로 본당에서는 계속 본당 분할을 교구에 건의하였다. 그 결과 브라질 신부 재임기인 1968년 3월 14일에 ‘연동 본당’이, 21대 주임 캐롤란(Carolan, 車) 신부 재임기인 1971년 10월 25일에는 ‘대성동 본당’이 분리되면서 동시에 압해도 · 비금도가 본당에서 분리되었다. 이로 인해 신자수가 크게 줄어 1972년에는 2,254명을 기록하였고 주변 신시가지로 신자들이 이전하면서 1979년에는 2,000명 이하로 줄어들었다가 이후 10여 년이 지나서야 다시 2,000명을 넘어서게 되었다.
한편 24대 주임 이재흥(李載興, 힐라리오) 신부는 1978년 10월 27일에 한국 전쟁 때 희생된 광주 지목 브렌난(Brennan, 安) 몬시뇰과 본당 신부였던 쿠삭 신부, 오브라이언 신부의 순교비를 성모상 옆에 건립하여 이들을 추모하였다. 이어 25대 주임 박영웅(朴英雄, 가브리엘) 신부는 1984년 1월 1일자로 신안군의 안좌 공소를 용당동 본당으로 이관하였고, 26대 주임 김성용(金成鏞, 프란치스코) 신부는 1989년 11월 18일에 양로원을 개원하였다. 1986년 10월 19일에는 본당의 ‘매괴의 모후’ 꾸리아가 꼬미시움으로 승격되었고, 1988년 4월 5일에는 레지오 마리애 한국 도입 기념비 축성식이 본당에서 거행되었다. 또 28대 주임 김양회(金良會, 요한 보스코) 신부가 부임한 뒤인 1994년에는 산정동 본당 100주년 기념 사업 추진위원회가 결성되어 그 사업의 일환으로 1996년 11월 15일에 한국 레지오 마리애 기념관 기공식을 가졌으며, 1년 6개월 동안의 공사 기간을 거쳐 전시관이 포함된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431평 규모의 기념관을 완공하고 1998년 5월 23일 윤공희(尹恭熙, 빅토리노) 대주교 집전으로 축성식을 거행했다. [출처 : 차기진, 한국가톨릭대사전 제6권]

모바일용 요약 설명
산정동 성당은 광주대교구 최초의 본당으로 1897년 5월 8일 수류 본당으로부터 분리 · 설립되었습니다. 1866년 병인박해를 피해 온 교우들이 노령산맥을 따라 새로운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며 전남 지역에 복음이 전파되었고, 1872년 나주 무학당에서 순교의 역사를 쓰면서도 꾸준히 성장했습니다. 1896년까지 전남 지역은 본당 하나 없이 수류 본당에 속한 공소들만 있었지만, 1897년 뮈텔 주교가 전라도 지역을 순방하면서 나바위 본당과 목포 본당의 신설을 결정했습니다.

목포 본당 초대 주임으로 부임한 데예 신부는 1899년 아담한 연와제 성당을 완공했고, 1911년에 대구교구가 설정된 후 부임한 샤르즈뵈프 신부는 산정동 97번지(구 성 골롬반 병원 구역)에 새 성당을 건축해 1913년 12월 봉헌식을 가졌습니다. 교황청 포교성성은 1933년에 전남과 제주 지역의 사목을 골롬반 외방선교회에 위임했습니다. 1945년 5월 일본군 사령부로 징발된 성당을 광복과 함께 되찾았지만 6.25 전쟁으로 다시 인민군 막사로 징발되는 수난을 겪기도 했고, 본당 주임 쿠삭 신부와 보좌 오브라이언 신부가 인민군에게 체포되어 1950년 8월경 대전에서 피살되었습니다.

목포 수복 후 부임한 모란 신부는 1953년 한국 최초로 레지오 마리애를 도입했고, 1966년 브라질 신부가 새 본당 부지에 현 성당과 사제관을 완공해 봉헌식을 가졌으며, 1978년 이재흥 신부는 6.25 전쟁 때 순교한 브렌난 몬시뇰과 본당 신부들의 순교비를 성모상 옆에 건립했습니다. 1988년 김성용 신부는 레지오 마리애 한국 도입 기념비를 세웠고, 김양회 신부는 본당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한국 레지오 마리애 기념관을 건립해 1998년 축복식을 가졌습니다. 이렇듯 산정동 성당은 광주대교구 최초의 본당이자 한국 레지오 마리애가 처음 도입된 곳이며, 6.25 때 순교한 세 성직자의 순교기념비가 있는 유서 깊은 곳입니다.
미사시간
미사구분 요일 시간 기타사항
주일미사 06:00
10:30 교중미사
평일미사 06:00
19:30
10:00
10:00
19:30
17:00 특전미사

* 미사시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