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배 유리창 깨서라도 학생 구하라 지시"
["朴대통령 '아이들 구했다고 했잖아요…' 질책"]
김장수 세월호 당시 靑안보실장 "당일 대통령과 6~7차례 통화"
"대통령, 당일 관저에서 머물며 정상적인 업무 지시 내려…
1보는 서면 보고가 낫다 여겼다, 오후 2시 넘어서까지 유선 보고 해"
'非보도' 전제 발언, 일부서 공개
세월호 참사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었던 김장수 주중 한국 대사는 28일 "참사 당시 박근혜 대통령과 6~7차례 통화하면서 유선 보고를 했다"고 밝혔다. 그는 "박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 '배 유리창을 깨서라도 학생들을 구하라'고 지시하고, '왜 통계가 틀리느냐'는 질책까지 했다"면서 "내가 건 것도, 받은 것도 있는데, 통화는 오후 2시 넘어서까지 이어졌다"고 했다. 박 대통령이 사고 당일(2014년4월16일) 오전 세월호가 전복된 상황을 알고 있었고, 전원 구조 소식이 잘못됐다는 보고도 받고 대응책을 지시했다는 것이다.
김 대사가 '세월호 7시간' 관련해 입을 연 것은 처음이다. 그는 그간 세월호 관련 질문에 "중국 대사 직무에 충실하겠다"며 언급을 피해왔다.
김 대사가 '세월호 7시간' 관련해 입을 연 것은 처음이다. 그는 그간 세월호 관련 질문에 "중국 대사 직무에 충실하겠다"며 언급을 피해왔다.
김 대사는 이날 베이징 특파원 간담회에서 '당시 유선 보고를 했다는데 대통령이 직접 전화를 받았느냐'는 질문에 "물론"이라고 했다. 그는 "VIP(대통령을 지칭)가 전화를 걸어 지시도 했으며 (구조 상황에 대해) 정정 보고를 받고 '왜 구했다고 해놓고 아니라고 하느냐'며 심하게 질책도 했다"고 했다.
김 대사는 "통화 중에 '선창(船窓)을 깨고 선실을 다 뒤져서라도 구하라'는 말씀이 있었던 걸로 기억한다"고도 했다.
김 대사는 참사 당시 대통령에게 1보를 한 당사자였으나 이후 "청와대는 재난 컨트롤 타워가 아니다"는 발언으로 인해 경질됐다.
김 대사의 발언은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국회 답변과 청와대가 최근 홈페이지에서 밝힌 상황과 큰 틀에서 일치한다. 김기춘 전 실장은 2014년 10월 국정감사 당시 "대통령은 첫 보고를 받은 지 15분 뒤 (김장수) 안보실장에게 전화를 해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없도록 하고 객실 등을 철저히 확인해 누락 인원이 없도록 하라'고 지시했고, 7분 뒤에는 다시 전화해 '샅샅이 뒤져 철저히 구조하라'고 했다"고 답변했다.
김 대사는 그간 박 대통령과 관련된 질문에 답변을 꺼려왔다. 김 대사는 이날 특파원단에 한·중 외교 현안을 브리핑하는 자리에서 세월호 관련 질문이 나오자 "세월호 7시간 관련 질문은 사양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특파원들이 "국민적 관심사"라며 거듭 질문하자 곤혹스러운 표정으로 답변을 했다. 그는 "오프(off·비보도)로 하자"고 했지만, 일부 언론사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서 언론에 공개됐다.
김 대사는 이날 박 대통령이 당시 상황을 모를 수 없다는 취지로 말했다. 직접 유선 보고를 했고, 대통령도 상황을 알고 구체적인 지시를 내렸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참사 당일 오후 5시 15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찾았을 때 "학생들이 구명조끼를 입었다고 하는데, 발견하기가 힘듭니까"라고 말했던 것에 대해서는 "그럴 수 있다. '이너슨트 와이(innocent why·순수한 궁금증)'로 본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이 발언 때문에 '상황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사왔다.
김 대사는 보고 당시 대통령의 위치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했다. 서면으로 한 일보(一報)에 대해서도 "집무실과 관저에 같이 띄운 것으로 기억한다"고 했다. 박 대통령이 청와대 상황실을 찾지 않은 것에 대해선 "당시 상황실이 너무 복잡해 오시더라도 설명할 길이 없었다. 중대본으로 가는 게 나을 수 있었다는 게 내 생각"이라고 말했다.
급박한 상황에서 서면으로 일보를 한 이유에 대해서는 간담회 당시 "설명하기 부적합하다. 청와대에 물어보라"며 즉답을 피했다가 나중에 따로 연락을 해서 "유선과 (구두) 상황 보고의 차이는 10분 이내이고, 유선보다는 서면 보고가 낫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투입된 구조 인력과 현재 구조 상황, 승선 인원, 학생 숫자, 사고 경위 등 세부 상황을 담을 수 있은 서면보고가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김 대사는 이후 본지 통화에서 "서면보고 당시 상대가 누구인지는 기억나지 않는데 '대통령 어디 계시느냐'고 물어 관저에서 계신 걸 확인했고, 나중에 (유선 보고 때도) 관저에서 통화하는 걸로 판단했다"고 했다. 뒤늦게 당시 상황을 밝힌 데 대해서는 "(특파원들이) 유선 보고를 왜 먼저 안 했느냐고 의혹이 있는 듯 물어오는데, 말하지 않으면 뭔가 감추는 것으로 비칠 것 같아 오해 불식을 위해 기억을 되살려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김 대사는 "통화 중에 '선창(船窓)을 깨고 선실을 다 뒤져서라도 구하라'는 말씀이 있었던 걸로 기억한다"고도 했다.
김 대사는 참사 당시 대통령에게 1보를 한 당사자였으나 이후 "청와대는 재난 컨트롤 타워가 아니다"는 발언으로 인해 경질됐다.
김 대사의 발언은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국회 답변과 청와대가 최근 홈페이지에서 밝힌 상황과 큰 틀에서 일치한다. 김기춘 전 실장은 2014년 10월 국정감사 당시 "대통령은 첫 보고를 받은 지 15분 뒤 (김장수) 안보실장에게 전화를 해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없도록 하고 객실 등을 철저히 확인해 누락 인원이 없도록 하라'고 지시했고, 7분 뒤에는 다시 전화해 '샅샅이 뒤져 철저히 구조하라'고 했다"고 답변했다.
김 대사는 그간 박 대통령과 관련된 질문에 답변을 꺼려왔다. 김 대사는 이날 특파원단에 한·중 외교 현안을 브리핑하는 자리에서 세월호 관련 질문이 나오자 "세월호 7시간 관련 질문은 사양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특파원들이 "국민적 관심사"라며 거듭 질문하자 곤혹스러운 표정으로 답변을 했다. 그는 "오프(off·비보도)로 하자"고 했지만, 일부 언론사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서 언론에 공개됐다.
김 대사는 이날 박 대통령이 당시 상황을 모를 수 없다는 취지로 말했다. 직접 유선 보고를 했고, 대통령도 상황을 알고 구체적인 지시를 내렸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참사 당일 오후 5시 15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찾았을 때 "학생들이 구명조끼를 입었다고 하는데, 발견하기가 힘듭니까"라고 말했던 것에 대해서는 "그럴 수 있다. '이너슨트 와이(innocent why·순수한 궁금증)'로 본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이 발언 때문에 '상황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사왔다.
김 대사는 보고 당시 대통령의 위치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했다. 서면으로 한 일보(一報)에 대해서도 "집무실과 관저에 같이 띄운 것으로 기억한다"고 했다. 박 대통령이 청와대 상황실을 찾지 않은 것에 대해선 "당시 상황실이 너무 복잡해 오시더라도 설명할 길이 없었다. 중대본으로 가는 게 나을 수 있었다는 게 내 생각"이라고 말했다.
급박한 상황에서 서면으로 일보를 한 이유에 대해서는 간담회 당시 "설명하기 부적합하다. 청와대에 물어보라"며 즉답을 피했다가 나중에 따로 연락을 해서 "유선과 (구두) 상황 보고의 차이는 10분 이내이고, 유선보다는 서면 보고가 낫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투입된 구조 인력과 현재 구조 상황, 승선 인원, 학생 숫자, 사고 경위 등 세부 상황을 담을 수 있은 서면보고가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김 대사는 이후 본지 통화에서 "서면보고 당시 상대가 누구인지는 기억나지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1/29/2016112900230.html
'Top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정교과서=최순실 교과서' 여론 속에… 역사교과서의 운명은? 김연주 기자 (0) | 2016.11.29 |
---|---|
朴대통령, 검찰 네번째 대면조사 요구도 거부 (0) | 2016.11.29 |
최순실 모른다"며 대통령에 공 넘긴 '靑 왕실장' (0) | 2016.11.29 |
원로들 "탄핵 길로 가면 심각한 분열… '파면'보다는 '명퇴'를" (0) | 2016.11.29 |
내년에 대유행할 인테리어 트렌드 5가지 (0) | 2016.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