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적 순례의 길

부엉골(범골)

Marine Kim 2015. 7. 9. 18:33
부엉골 예수성심 신학교 터로 가는 계곡길의 넓은 공터.여주 또는 문막 나들목에서 나와 42번 국도를 타고 여주와 문막 중간쯤에 위치한 부평 교차로에서 남으로 3km 가량 세종 천문대 방향으로 내려가서 천문대를 오른편으로 끼고 1km 정도 간 뒤 다시 우회전해서 계곡 안쪽으로 1km 정도 거슬러 올라가면 부엉골 예수 성심 신학교 터가 자리 잡고 있다.
 
이 예수 성심 신학교는 1885년 10월 28일 개교하여 온갖 수난과 역경을 이겨내면서 성소를 키워 내 오늘날의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을 있게 한 모태이다. 최초의 방인사제 김대건 안드레아(金大建, 1821-1846년), 최양업 토마스(崔良業, 1821-1861년) 신부의 뒤를 이어 한국 교회의 목자들을 키워 낸 성소의 못자리는 바로 이곳에 그 첫 씨앗이 뿌려졌던 것이다.
 
현재 경기도 여주군에 위치한 이 신학교 터는 지금까지 ‘부흥골’로 불리어 왔지만 ‘범골’ 또는 ‘부엉골’이라는 주장이 더욱 설득력을 지닌 듯하다. ‘부흥골’로 불린 것은 선교사들이 ‘Pouheungkol’로 표기했기 때문인데, 여기서 h는 무성(無聲)의 h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들이 점차 지배적이 되고 있다. 이는 실제로 ‘용산 신학교 학생 명부’(Liste des eleves du Seminaire de Ryong San)에 ‘Pouheungkol’이 아니라 ‘Pou Eng Kol’로 표기되어 있는 점에서도 미루어 알 수 있다.

 

 모바일용 요약 설명

1885년 10월 28일 경기도 여주군에 개교한 예수 성심 신학교는 온갖 수난과 역경을 이겨내면서 성소를 키워 내 오늘날의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을 있게 한 모태입니다. 조선 교구 제7대 교구장 블랑 주교는 당시 국내 사정이 여전히 불안하고 인원도 부족해서 신학교의 설립을 망설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페낭 신학교의 한국 학생들이 그곳의 기후와 풍토를 이겨 내지 못하고 1884년 일부 귀국하자 신학교 설립을 서두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서둘러 개교한 부엉골의 예수 성심 신학교는 임시로 초가 몇 칸을 매입해 신학교를 세우고 페낭에서 돌아온 학생 4명과 조선에서 입학한 3명을 포함해 모두 7명의 신학생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러나 부엉골 신학교는 그리 오래 운영되지 못하고, 한불조약이 체결되면서 개교 2년 후인 1887년 서울 용산으로 이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