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need to know

날이 추워야 제맛 들기 시작하는 무로 담근 동치미는 겨울의 일상식이자 별미다

Marine Kim 2017. 1. 26. 20:13

겨울 별미… 막힌 속 뚫어주는 '천연 사이다'

우리는 한식 또는 한식화된 음식에 녹아있는 유래와 역사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
이와 관련된 정보들을 하나씩 풀어보는 '한식의 탄생'. 한국인이 일상에서 접하고 있는 음식을 조금 더 깊숙히 들여다보자.

  • 취재=박정배 음식 칼럼니스트,'음식강산' 저자
  • 입력 : 2017.01.26 08:06

날이 추워야 제맛 들기 시작하는 무로 담근 동치미는 겨울의 일상식이자 별미다. 발효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와 유기산이 시원하고 톡 쏘는 맛을 선사한다. 중국과 일본도 무를 즐겨 먹지만 무를 국물과 함께 먹는 동치미는 한민족이 유일하다.

/조선DB

이규보(李奎報·1168∼1241년)는 '가포육영(家圃六詠)'에서 '무장아찌 여름철에 먹기 좋고, 소금에 절인 순무 겨울 내내 반찬 되네'라고 노래했다. 이는 무김치에 관한 최초 기록이다. 동치미란 단어는 저자가 알려지지 않은 조리서인 '요록(要錄·1680년)'에 김치와 무를 소금물에 담근 '동치미(冬沈)'로 처음 등장한다. 이보다 앞서 온역(瘟疫·돌림병) 치료에 필요한 방문(方文·처방글)을 모아 엮은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1525년)'에 '순무나박김치의 국물을 어른 아이 모두 대소 간에 마시라'는 구절이 나온다. 동침이란 말은 '겨울에 담근 김치(冬沈)' 혹은 '밑동, 즉 통무를 담근 것'(한국어 어원사전)이란 두 가지 어원이 있다. 종류도 서울동치미, 나복동치미, 실파동치미, 무청동치미, 갓동치미, 배추동치미, 총각무동치미, 알타리동치미, 궁중식동치미, 평안도동치미 등 10여 가지나 된다.

동치미에 메밀국수를 말아 먹는 평양냉면도 동치미 맛이 가장 중요했다. '겨울에 평양냉면이라면 얼른 동치미를 생각하게 되는 것이니 아랫목에 이불을 쓰고 앉아 덜덜 떨면서 동치미 국물에 냉면을 먹는 맛은 도저히 다른 데서 맛보지 못할 것입니다.'(1935년 11월 14일 자 동아일보)

'설날에 떡국은 많이 먹으면 체하기가 쉽습니다. 먹을 때는 될 수 있는 대로 동치미와 함께 먹는 것이 좋습니다'(1938년 1월 11일 자 조선일보)라는 기사가 나올 정도로 약으로도 여겨졌다. 실제로 무에 들어 있는 효소 아밀라아제는 천연 소화제 역할을 한다. 먹을 것이 부족했던 시절, 거의 유일하게 과식할 수 있었던 명절에 동치미는 막힌 속을 뚫어주는 '천연 사이다'였다.

동치미명란젓어리굴젓누룽지김밥토란국굴비와 물만밥굴비와 물만밥민어함흥냉면화채화채보리밥오이소박이조깃국파전시래기된장헛제삿밥수정과김치찌개북엇국비지찌개김장잡채막걸리갈비찜젓갈육회냉국육개장미숫가루상추쌈장아찌미나리두부청포묵막국수도다리쑥국청국장떡국,만둣국빈대떡참기름과메기명태설렁탕게장삼겹살떡볶이송편조선요리옥전기구이통닭아이스케키삼계탕
▶박정배는
남해 섬에서 남해 출신의 아버지와 삼천포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남해 죽방렴의 멸치와 삼천포의 쥐치 같은 비린내 나는 날것들을 먹으며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서울에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다니며 돼지고기, 쇠고기 등 기름진 음식을 접했고, 음식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대학 시절 처음으로 평양냉면을 비롯한 북한 음식을 맛보며 우리 음식의 다양성에 눈을 떴고, 대학생 시절 폐선 되기 직전의 수인선 여행의 낭만이 몸속 구석구석 남아 있다가 일본 기차여행을 하면서 되살아났습니다. 방송 프로듀서, 출판사 대표, 애니메이션 제작사 대표 등 다양한 문화계 일을 해왔습니다. 일본을 70여 회 먹고 마시면서 돌아다녔고, 현재 음식평론가와 여행 작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음식강산'에서